월명성 찾는 법
월명성이란, 본인이 태어난 월의 상수를 말합니다.
구성학에서는 태어난 월에 상수를 부여하여 이를 월명성이라고 부르고 이는 평생운이나 단시점에서 기준점을 이루는 단위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본명성(연기성)처럼 월명성도 헷갈리는 용어가 있는데요, 일반적인 이론 설명에서는 '월기성'이라 부르고, 사람 본인의 상수는 '월명성'이라고 부릅니다.
이해를 돕고자..., 일반 달력에서 '며칠'이라는 용어는 숫자적 의미로 평일 즉 월기성과 같고, '생일'은 내가 태어난 날이므로 평일과는 다른 의미가 있습니다.
의미적인 용어를 약간 구분해봤지만, 사실은 이 구분 없이 월명성으로 통용되기도 합니다.
만세력이나 프로그램으로 월명성을 찾으면 말할 것도 없이 쉽지만, 그렇지 않을 때 운지법과 암산법으로 월명성을 찾아야 합니다.
운지법을 활용하면 암기하지 않아도 생년(띠)만 알아도 손가락으로 돌려가면서 월명성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월명성 찾는 법
- 子午卯酉生은 寅月이 ‘8’부터 寅8→卯7→辰6→巳5방향으로 역순합니다. - 辰戌丑未生은 寅月이 ‘5’부터 寅5→卯4→辰3→巳2방향으로 역순합니다. - 寅申巳亥生은 寅月이 ‘2’부터 寅2→卯1→辰9→巳8방향으로 역순합니다. |
예1)
1972년 壬子年生의 寅月은 8상수가 됩니다.
1972년 壬子年生의 卯月은 7상수가 됩니다.
1972년 壬子年生의 戌月은 9상수가 됩니다.
예2)
2012년 壬辰年生의 寅月은 5상수가 됩니다.
2012년 壬辰年生의 卯月은 4상수가 됩니다.
2012년 壬辰年生의 酉月은 7상수가 됩니다.
예3)
1965년 乙巳年生의 寅월은 2상수가 됩니다.
1965년 乙巳年生의 午월은 7상수가 됩니다.
1965년 乙巳年生의 丑월은 9상수가 됩니다.
절입일
월명성 구분을 12절기 (숫자 1~12표시)만을 사용하며 졸입시간을 기준으로 상수가 바뀝니다.
월명성은 1년 이상 지속되는 문점을 볼 때 적중율이 높습니다.
절 기 | 일 자 | 내 용 |
1.입춘(立春) | 2월 4일 또는 5일 | 봄의 시작 |
우수(雨水) | 2월 18일 또는 19일 | 봄비 내리고 싹이 틈 |
2.경칩(驚蟄) | 3월 5일 또는 6일 | 개구리 겨울잠에서 깨어남 |
춘분(春分) | 3월 20일 또는 21일 | 낮이 길어지기 시작 |
3.청명(淸明) | 4월 4일 또는 5일 | 봄 농사준비 |
곡우(穀雨) | 4월 20일 또는 21일 | 농사비가 내림 |
4.입하(立夏) | 5월 5일 또는 6일 | 여름의 시작 |
소만(小滿) | 5월 21일 또는 22일 | 본격적인 농사 시작 |
5.망종(芒種) | 6월 5일 또는 6일 | 씨 뿌리기 시작 |
하지(夏至) | 6월 21일 또는 22일 | 낮이 연중 가장긴 시기 |
6.소서(小暑) | 7월 7일 또는 8일 | 더위의 시작 |
대서(大暑) | 7월 22일 또는 23일 | 더위가 가장 심함 |
7.입추(立秋) | 8월 7일 또는 8일 | 가을의 시작 |
처서(處暑) | 8월 23일 또는 24일 | 더위 식고 일교차 큼 |
8.백로(白露) | 9월 7일 또는 8일 | 이슬이 내리기 시작 |
추분(秋分) | 9월 23일 또는 24일 | 밤이 길어지는 시기 |
9.한로(寒露) | 10월 8일 또는 9일 | 찬 이슬 내리기 시작 |
상강(霜降) | 10월 23일 또는 24일 | 서리가 내리기 시작 |
10.입동(立冬) | 11월 7일 또는 8일 | 겨울 시작 |
소설(小雪) | 11월 22일 또는 23일 | 얼음이 얼기 시작 |
11.대설(大雪) | 12월 7일 또는 8일 | 겨울 큰 눈이 옴 |
동지(冬至) | 12월 21일 또는 22일 | 밤이 년 중 가장긴 시기 |
12.소한(小寒) | 1월 5일 또는 6일 | 겨울 중 가장 추운 때 |
대한(大寒) | 1월 20일 또는 21일 | 겨울 큰 추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