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철 식품 안전, 장마철 안전한 구매법, 안전한 식품보관법

오늘의 먹거리 안전에서는 장마철 식품 안전, 장마철 안전한 구매법, 안전한 식품보관법을 올려드립니다.


곰팡이와 습도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는 잘 알고 계시겠죠? 습도가 높은 장마철에는 쌀, 콩, 옥수수 등과 같이 건조한 식품도 수분을 흡수하여 곰팡이가 자랄 수 있습니다.


옥수수나 땅콩에 생기는 곰팡이의 경우는 곰팡이는 그 자체 보다는 배출하는 독소에 의해 인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일부 곰팡이들은 암, 면역억제 등을 유발 시킬 수 있는 위험한 독소를 생성합니다. 안타깝게도 곰팡이의 모양으로는 곰팡이 독소 유무를 판별할 수 없습니다.


장마철 식품 안전, 장마철 안전한 구매법, 안전한 식품보관법입니다.






그럼 곰팡이가 생긴 것들도 데우거나 끓여먹으면 안전할까? 


대부분의 곰팡이 독소들은 열에 매우 강하여 가열을 한다고 해서 없어지지 않습니다. 


잘 알려진 곰팡이독소들 중 파튤린만이 가열 과정을 통하여 그 수준이 감소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곰팡이가 생긴 식품은 무조건 섭취하면 안 됩니다.





곰팡이 독소의 종류 및 특성


곰팡이의 종류는 상당히 많지만, 이중 식품과 관련이 있고 소비자가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몇 가지 종류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 아플라톡신

특정균주에 의해 생성되어지는 독성물질로서 인체에 암을 일으키는 발암물질입니다. 탄수화물이 풍부한 곡류가 주 오염원으로, 균주들이 흙속에 서식하다 땅콩, 보리, 수수, 밀, 호밀, 옥수수, 대두, 목화씨, 해바라기씨, 사탕수수 등 농작물의 이삭에 옮겨져 곡식이 수확, 저장되는 동안 번식해 생성됩니다. 


@ 오크라톡신 

신장 및 간장에 독성을 나타내며 신장독소, 간장독소, 면역억제 및 기형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처음 발견 될 당시 주로 곡류나 콩류에서 그 오염사례가 있었으나 커피, 코코아, 너트류, 건포도, 포도주, 맥주, 향신료 등에서도 발생합니다.







@ 데옥시니발레놀

온도가 낮은 온난지역과 한랭지역의 농산물에서 발견되며, 밀, 옥수수, 보리 등 곡류에 기생하여 유독물질인 독소를 생성합니다. 일반적으로 돼지가 이 독소에 가장 민감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어린 가축이 오염 사료(0.1~0.2ppm)를 섭취 한 후 구토가 발생하고, 사람에게서는 급성 위장염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210℃ 이상 온도에서 40분 동안 가열해야 분해될 정도로 열에 강합니다.


@ 제랄레논 

곰팡이에 오염된 곡류 즉, 쌀뿐만 아니라 옥수수 및 그 가공품, 보리 및 그 가공품, 귀리 등의 농산물이 주 오염원입니다. 동물에게는 발정증후군, 질염, 미숙아출산, 유산, 항문팽창 등 주로 생식계통에 영향을 미치고, 사람에게서는 유방암과의 관련성이 의심됩니다.


@ 파틀린

사과, 배, 포도 등 상한 과실류, 상한 과실류로 제조된 주스 및 과실 가공품에서 주로 발견되며, 채소류, 곡류 등에서도 때때로 발견됩니다. 뇌 및 중추신경계에 장애를 일으키고, 일반적으로 중간 정도의 세포독성, DNA 손상, 면역억제작용 등이 알려져 있습니다. 동물시험에서 초조, 일부의 경우 경련, 호흡곤란, 폐울혈, 부종, 궤양형성, 충혈과 내장의 팽창 등 급성 독성증세가 나타납니다. 열처리에 의해 감소될 수 있으며, 저온살균 처리한 사과주스에는 파틀린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장마철 안전한 식품구매법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곰팡이로 인해 생성된 독소는 가열조리 하더라도 독소가 없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곰팡이가 생긴 식품은 구매하거나 먹지 말아야 합니다


우리가 즐겨먹는 땅콩이나, 옥수수 등은 구매할 때나 집에 보관된 것을 먹을 때 곰팡이가 있는지 꼭 확인해야 합니다.






장마철 안전한 식품보관법


- 식품 보관 온도는 저온(10℃ 정도)으로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 가능한 공기(산소)와의 접촉을 피합니다.

- 낮은 습도(상대습도 60% 이하)를 유지합니다.

- 비가 많이 온 후에는 주방에 보일러나 에어컨을 가동해 습기를 제거합니다.

- 음식물 쓰레기통이나 씽크대를 주기적으로 소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