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기풍수와 이기풍수의 구분
풍수이론에는 크게 형기풍수와 이기풍수로 구분됩니다.
옛날 나경이나 이론적인 부분이 약했던 시기에 시작된 풍수는 외적인 형상을 보는 풍수로 시작되었습니다.
좌청룡, 우배호 등등 외형적인 판단을 주로하는 풍수법이 形氣風水입니다.
이후에 발달한 음양오행을 살피는 이기론이 성행하게 되는데 여기에 나경까지 접목되면서 향을 중시하는 풍수법이 理氣風水입니다.
다시말하면, 풍수지리학은 연구대상에 따라 산과 물의 외적인 형상을 보고 명당 길지를 연구하는 것이 형기풍수이고, 방위와 시간의 개념으로 천기(天氣)와 지기(地氣), 음양오행을 살피는 것이 이기풍수입니다.
형기풍수는 산수(山水)의 외적 형상을 살피는 것으로 풍수의 체(體)가 됩니다.
이기풍수는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없는 방위, 시간 등의 요소를 산수가 가지고 있는 음양오행을 찾아서 그 상호작용이 상생이 되도록 조화시키는 논리로서 외적형상을 체(體)로 보았을 때 이기는 작용인 용(用)으로서 풍수지리에서 길지를 찾고 혈(穴)을 판단함에 있어 용(用)과 체(體)는 별개일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사람의 외관을 보고 그 사람의 외적능력을 판단하는 것은 형기에 속하고, 성격과 지적능력을 판단하여 사람을 보는 것은 이기에 속합니다.
즉 형기는 용(산, 능선), 혈(집터나 묘 자리), 사(주변의 산), 수(물) 등 풍수지리의 외적 변화 현상을 보는 것이고, 이기는 용(龍), 혈(穴), 사(砂), 수(水)의 방위를 측정하여 음양오행법(陰陽五行法)으로 적법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입니다.
이기풍수에도 여러파가 있는 것으로 아는데, 저는 그에 구애받지 않고 오로지 현공풍수 이기론에만 치중하여 글을 올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