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 K의 기능, 비타민 K가 많은 식품
오늘의 영양소 편에서는 비타민 K에 대해서 알아보겠는데요, 비타민 K의 기능과 비타민 K가 많은 식품을 알아보겠습니다.
비타민 k는 지용성 비타민으로 식물의 잎에 존재하는 지용성의 나프토퀴논 화합물입니다. 체내에 비타민 K가 부족하면 혈액이 응고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비타민 K는 부족되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사람들은 종종 이 영양소를 소홀히 하기 쉬우나 가장 알려진 비타민 K의 역할을 응혈인자들을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비타민 K를 많이 섭취하면 당뇨병 위험이 감소하면서 염증 감소로 이어지고, 인슐린 효과가 높아져 비타민 K를 많이 섭취하는 사람은 당뇨병 발생 위험이 감소합니다.
비타민 K가 많은 식품을 많이 먹은 사람일수록 암에 걸릴 확률과 암으로 사망할 확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이들은 특히 폐암과 전립선암에 낮은 발병률을 보였습니다. 식사로 섭취되는 비타민 K의 양이 적을 경우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엉덩이의 골절 위험이 증가된다고 하네요.
비타민 K의 기능
비타민 K는 프로트롬빈을 생성시켜 정상적인 혈액응고를 돕습니다. 혈소판과 칼슘이온 등의 작용으로 트롬핀이 되어 이것이 다시 프브리노겐에 작용하여 피브린을 만들어 혈액응고가 일어납니다. 그리고 뼈에 주로 존재하는 오스테오칼신 단백질의 특정잔기가 γ-글루탐산 잔기가 되는 카복실화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항응고제란?
항응고제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몸 안에 혈전(혈액 응고 덩어리)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혈전이 혈관을 따라 몸 안을 돌아다니다가 혈관을 막으면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제가 2005년도에 급성심근경색으로 저 세상으로 갔다가 온 사람으로 이에 대한 깊은 관심이 많은 사람입니다.
비타민 K는 혈액응고에 관여하는 비타민으로, 와파린은 비타민 K의 환원을 억제하여 비타민 K 의존성 혈액응고인자에 의해 혈액이 응고되는 것을 억제합니다. 와파린의 약효는 투여후 2~7일이 지나서 효과가 나타납니다.
비타민 K의 충분섭취량
2005년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서는 비타민 K 섭취의 효과를 연구한 용량-반응 평가 결과들과 생리학적 의의가 충분하지 않아 건강한 사람의 비타민 K 식이 섭취량에 기초를 두어 권장섭취량이 아닌 충분섭취량을 제안하였습니다.
성인 여성과 남성의 비타민 K 충분 섭취량은 각각 75μg/일, 65μg/일입니다. 반면에, 비타민 K의 과다 섭취에 대한 임상적인 부작용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비타민 K가 많은 식품
비타민 K는 해조류, 푸른잎 야채에 풍부하며 장내세균에 의해 합성되기 때문에 별로 결핍되지 않습니다. 비타민 K의 주요 급원식품은 토마토, 감자, 오렌지, 김, 비름나물, 근대, 파슬리, 브로콜리 등의 녹색 채소류이며 그외 녹차, 과일, 곡류, 고기 등에도 많이 들어있습니다.
비타민 K의 결핍증
비타민 K의 결핍증은 프로트롬빈 시간의 증가와 관련되며 비타민 K-의존적 저프로트롬 빈혈증으로 정의됩니다. 건강한 식생활을 하는 건강인에게는 대체로 지혈작용이 손상받지는 않습니다.
다만, 지방의 흡수가 불량할 경우, 비타민 K 대사를 방해하는 것으로 알려진 약물로 치료를 받는 경우에 가끔 비타민 K의 결핍증상이 있을 정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