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 B1의 기능, 비타민 B1 많은 식품
오늘의 먹거리 영양 편에서는 비타민 B1의 기능과 각기병을 예방하는 비타민 B1 많은 식품을 알아보겠습니다.
비타민 B1은 아무리 많이 먹어도 해가 되지 않는 영양소인데요, 쌀겨 등에서 많이 발견되는 영양소라는 점에서 주목한 만한 영양소입니다. 다른 용어로는 티아민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비타민 B1은 몸 안에서 탄수화물이 분해돼서 에너지로 바뀔 때, 효소가 관여하게 되는데 이때 보조역할을 하는 게 비타민 B1입니다.
만약 이러한 비타민 B1이 부족하게 되면 탄수화물이 잘 분해되지 않아 유산 등의 피로물질이 쌓여 피로해지기 쉽습니다. 비타민 B1의 결핍증상으로는 손발이 쉽게 저리거나 붓고 가슴이 두근거리며 심장박동이 불규칙해지고 식욕부진 등의 각기병 초기증상이 나타납니다.
그래서 알아볼 내용은 비타민 B1의 기능과 비타민 B1 많은 식품을 알아봅니다.
비타민 B1의 기능
비타민 B1은 우리가 살아가는 데 있어 필수적인 에너지를 만드는 기능과 신경 기능 및 뇌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비타민 B1은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작용과 관계하여 중추 신경과 말초 신경을 성공적으로 유지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비타민 B1는 신경 세포 내에 존재하여 신경에서 사용되는 에너지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사실, 중추 신경과 말초 신경, 뇌 등의 에너지 원은 당질이 하나의 에너지 원으로 다른 것을 바꿀 수 없습니다. 따라서 비타민 B1이 부족하면 초조하고 정신이 불안해지거나 신경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비타민 B1 많은 식품
비타민 B1 많은 식품은 돼지고기, 해바라기씨, 맥주효모, 두류, 감자류, 전곡과 강화된 곡류, 완두통, 아스파라거스, 육류의 내장, 땅콩 및 기타 종실류, 버섯, 수박 등이 비타민 B1 많은 식품입니다.
하지만 다양한 식품을 섭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한 섭취법입니다. 이 외에도 이들 식품의 추출물 또는 합성원료를 첨가한 가공식품과 비타민 B1 보충용 식품도 주요 급원입니다.
비타민 B1 권장 섭취량
우리나라 성인의 비타민 B1 평균 필요량은 남자 1.0㎎/일, 여자 0.9㎎/일이며, 비타민 B1 권장 섭취량은 평균섭취량의 120%로 각각 1.2㎎/일, 1.1㎎/일입니다. 비타민 B1 권장 섭취량 설정 시 사용된 지표는 적혈구의 트랜스케톨레이즈 활성입니다.
이 효소의 활성은 혈액세포를 파괴한 후 비타민 B1 조효소를 첨가했을 때와 하지 않았을 때의 효소활성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측정한다고 합니다.
노인은 성인에 비해 비타민 B1 필요량이 증가할 것이라는 이론이 있으나 노인은 에너지 이용율이 감소하기 때문에 이러한 효과를 상쇄하므로 노인의 비타민 B1 평균 필요량과 권장 섭취량은 성인과 같은 수준으로 정했다는군요.
비타민 B1 결핍 증상
비타민 B1 결핍 증상은 식욕부진, 체중감소, 무감각 등과 같은 정신적 증상, 과민성, 근육 무력증, 심장비대 등의 심혈관계 증상을 수반하며, 심각하게 결핍되면 신경계와 심혈관계 장애를 나타내는 각기병이 유발됩니다.
각기병은 2가지 유형이 있는데요, 습성각기병은 말초신경장애 외에 심장 비대, 충혈성심장병과 함께 부종이 나타납니다. 건성각기병은 말초신경장애 외에 극심한 근육소모가 나타납니다.
영아의 각기병은 비타민 B1 결핍증을 가진 엄마의 젖을 먹고 자란 경우 나타날 수 있으며, 젖 빨기 장애, 구토, 무감각, 불안 등의 증상을 나타내고 치명적인 급성 심부전을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