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성의 직업성

오늘의 포스팅은 재성의 성향과 직업성에 관한 글입니다.


인생을 어떻게 살아가고 싶냐고 묻는다면 "돈 많이 벌어 잘 살고 싶다"라는 답이 많을 겁니다. 


인생 자체가 돈이면 대부분 해결되는 세상이 되다보니 틀린 말은 아닌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일을 많이 한다고 다 돈을 많이 벌수는 없더군요. 돈 버는 사람이 따로 있을까요?​


사주학에서는 돈 버는 사람이 따로 있다고 말합니다. 즉 돈 버는 사주가 있다는건데, 비근한 예로 한 동안 주식이 한창일 때 모두가 돈을 번 건 아니었던 것입니다. 


돈 번 사람이 있고 잃은 사람도 있으며 투자할 때마다 승산있는 투자만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또 상대적으로 투자만 하면 빈털털이가 되는 사람도 있습니다.



사주에서 재물은 재성(편재.정재)이 담당하는데 재성이 창고라면 돈 버는 식상이 같이 있어서 식신생재가 되면 좋습니다. 즉 식상은 없으면서 재성만 있다면 창고만 있고 일거리는 없다는 것인데 이경우 재물을 얻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또 재성은 남자의 경우에 이성이나 배우자를 의미하므로 이에 따르는 이성운이 좌우되기도 하고, 여자의 경우엔 고부갈등도 염려해야 합니다.​​


재성이 강하면 오히려 단점이 됩니다. 즉 재물 욕심이 많아 일확천금을 노리게 되어 위험성이 따르고, 이익을 위해서는 거짓말도 하게 되므로 신뢰가 떨어지며, 여자가 많은 형국이니 여자로 망할 가능성이 있고, 일을 무리하게 추진하는 경향이 많습니다. 재성이 강한 사주는 재물을 쫓아가면 백전백패하니 학문으로 눈을 돌려야 합니다.​



재성 중 편재의 기질은 큰 돈을 노리는 투기성이 다분하고, 통이 큰 사업가 기질을 보유하며, 수완이 좋아서 대인관계에 재능이 탁월하다 보니 이성간 교류도 많고 풍류심도 강해지는 건 당연합니다. 편재는 유동성이나 투자성 재물, 모험이나 일확천금을 따르는 성향이 강합니다. 이러한 편재의 직업성은 투기, 투자성 사업, 상업, 부동산관련, 무역업, 유통업, 펀드매니저 등이 좋습니다.​​


반면 정재의 기질은 꾸준히 노력하는 순수형입니다. 하여 다소 고지식한 면이 있고 성실하며 정도의 길을 가는 범생입니다. 금전적인 융통성이 낮고 인색하며 베짱이 없으니 상업, 사업, 투기성에 맞지는 않습니다. 한편 정재도 왕하면 편재의 성향이 다분하므로 분석할 때 잘 봐야 합니다. 


이러한 정재의 직업성은 사업보다는 정당한 급여나 월급쟁이인 금융인, 보험인, 급여생활이 좋고, 사업을 한다면 금융업, 성실하고 신용을 바탕으로 하는 직업(도.소매업)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