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덕이 있는사주!

 사람이 사회를 살아감에 있어 나홀로 독불장군으로 살아갈 수는 없는 노릇입니다. 


서로 협조하고 도움주고, 도움받고 하며 살아가는 것이다 보니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라는 말로 인간의 상호관계를 언급한  바 있습니다.​


사주학에서는 인덕있는 사주와 인덕없는 사주를 분석하여 상담자가 해야할 방책을 일러주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사람은 부모로 부터 태어나와 성장하면서 사회적인 동물로 살아가야 하기 때문입니다. 독불장군이 되면 이 세상을 살아가기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그런데 '인덕'과 약간 다른 용어로 '인복'이 있습니다. 인덕은 자기 스스로 남에게 선행을 베풀고, 그 상대자로 하여금 도움을 받는 즉 피드백 같은 도움이라면(쌍방향), 인복은 그냥 남으로 부터 도움(일방적)을 받는 것을 말합니다. 그러니 인덕이 더 사회적인 용어로 보입니다.

인덕 또는 인복이 있는 사주를 사주학적 측면에서 알아보겠습니다.






인복이 있는 사주

 인덕이 있는 사주

 -인성이 길하게 발달한 사주


 -도화살이 길하게 발달한 사주


 -사주에 식상이 길하게 발달한 사주

 -사주가 강하고 순통이 되는 사주


 -식상이 발달된 사주




인덕이 없는 사주는 사주 내에 내편(특히 인성)이 없는 약한사주로 사주가 약하면 베풀고 싶어도 베풀지 못하니 인덕이 약하다고 봅니다. 


또 매우 강한 사주나 인수가 약한 사주팔자로, 비겁태과자, 인수태과, 식상태과 등 특히 洩이 없는 막힌 사주와 관이 약한 사주, 그리고 사주를 강하게 하는 殺이 많은 경우입니다.


이렇게 인덕이나 인복을 사회에서 중하게 여기는 이유는, 현대 사회에서는 인맥이 중요하고 인맥이 곧 재물이자 성과물을 만들어 내기 때문이며, 또 베푼만큼 돌아오는 것이 이치이므로 인덕이 좋은 사람이 일 성사에도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1. 인덕없는 사주 : 무관.무인성사주, 비겁이 강함(선배, 윗사람, 상사들과 어울리지 못하고 고집이나 자존심이 세어 윗사람과 마찰이 심하여 승진도 안됨)


2. 인덕있는 사주 : 인성이 많고, 순통되며, 강한 도화살로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마력


3. 인덕없는 사주 : 태왕사주, 순통이 안되고, 비겁이 강하여 고집 등 유아독존, 설이 없으며, 무관이므로 자기 멋대로, 모두 적, 고독수. 


#인덕있는사주, #인덕없는사주,

- 전화 및 문자 : 010-9222-8427 

- 이메일 : mirai-an@naver.com

- 카톡ID : 3jin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