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의 강.약관계!

오늘의 글은 사주의 강.약관계에 대한 글입니다.


사주명리학에서는 사주팔자를 강약으로 나누고 이를 신강사주(身强四柱), 신약사주(身弱四柱)로 이름 붙여 이에 따른 장단점과 길흉을 분석하는 기초로 삼고 있습니다. ​


그럼 사주명리학상 신강(身强), 신약(身弱)이란 무슨 의미일까? 신강.신약이란 사람의 몸이 건강하고 약하다는 뜻이 아닙니다. 


즉 일주는 身이 되는데, 인성과 비겁이 많아서 강하면 신강에 속하고, 식상.재성.관성이 많으면 신약에 속합니다.​


사주팔자에서는 일간의 강함이 좋을 수도 있고, 나쁠 수도 있어서 일간의 신강 신약 중 어느 것이 좋고 어느 것이 나쁘다고 단정지어 말 할 수는 없습니다. 


그럼에도 뭇사람들은 신강사주가 더 좋은 것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주에서는 강(强)도 아니고, 약도 아닌 중화(中和)된 사주, 즉 호수의 물같이 잔잔하고 평화로움의 형태, 흔들림이 없는 수평상태의 사주를 중화된 사주라 하며 사주학상 이상적(理想的)이라고 합니다.​


대체로 사주명리학상 중화된 사주는 조금 귀하며 판단하기도 쉽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대개 사주는 신강이나 신약중 어느 한 쪽으로 기울져 있는 게 대부분입니다. ​


식재관(食財官)을 고루 갖추어 식재관이 강할 때는 약간 신강한 사주가 좋으나, 이는 신약한 사주의 경우에는 강한 식재관(食財官)을 감당 할 수가 없다는 역설이기도 합니다.​


식재관이 강하고 신강할 때는 부귀격 사주가 되고, 식재관은 강하나 신약할 때는 빈천격이 되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용신과 이름 등으로 신강 하도록 보강을 해주어야 합니다​


아무튼 사주는 중화가 제일 좋지만 일반적으로 적당히 신강한 사주가 좋습니다. 그러나 여성은 조금 신약한 듯 해도 된다고 보기도 합니다.


- 사주상담 : 010-9222-8427  

- 이메일 : mirai-an@naver.com

- 카톡ID : 3jinj  

- 상담안내: https://blog.naver.com/mirai-an/2213532196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