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이 오행과 관계있나?
오늘의 글은 '비만이 오행과 관계있나'라는 주제의 글입니다.
현대 의학계에서는 현대인의 영양 과다 상태를 지적하기도 합니다. 무얼 먹을까보다 무얼 먹지 않을까를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주로 영양과 음식섭취에 관한 식품영양학자들이 걱정하는 말입니다.
곳곳에서 비만이 걱정이라는 소리가 쏟아지는 시대입니다. 보통의 비만클리닉 프로그램에서는 밥 한 그릇을 먹어도 칼로리를 계산하고, 피자 한 쪽을 먹으면 운동을 얼마나 해야 하는지를 따져보기도 합니다.
어린아이부터 어른까지 살이 쪄서 걱정이라는 말을 입버릇처럼 하기도 하고, 살찐 사람 중에는 물만 마셔도 살이 찐다는 사람도 있곤 합니다.
오행(五行) 중 토(土)가 태과한 사람이라면 그럴 가능성(비만)이 없지는 않습니다. 토가 많은 사람은 소화력이 뛰어납니다. 어떤 음식을 먹어도 그대로 몸으로 흡수하는 체질이 많습니다.
속병으로 인한 고생은 안 하겠지만 살이 잘 찌는 걱정을 항상 달고 살아야 합니다. 여유 있는 성격이어서 일상의 어려운 일을 잘 수용하는데 음식을 받아들이고 저장하는 데도 여유가 있어서 비만으로 연결됩니다.
식신(食神)이 과다한 사주 역시 비만을 조심해야 합니다. 식신은 말 그대로 먹을 게 많다는 것입니다. 먹을 게 많으니 살림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되는 좋은 사주입니다.
그런데 음식을 즐긴다는 게 함정처럼 도사리고 있습니다. 즐기는 건 좋은데 정도가 지나쳐서 문제가 됩니다. 맛있는 음식을 보면 자제하지 못하거나, 맛 집을 찾아다니는 걸 최고의 낙으로 삼으며, 식욕이 발동하면 폭식을 하기도 합니다. 이런 모든 것들의 결과는 뻔합니다. 감당 못 하게 살이 찐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보면 비만이 특정한 체질이나 특정한 사주인 사람만의 문제라고 오해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비만은 특정한 사람의 문제가 아니고 현대인들에게 가장 많은 질병이고 고민이 된 지 오래입니다.
문제가 있다면 해결을 해야 합니다. 비만에서 벗어나려면 무엇보다 체질에 따른 식단관리를 해야 합니다. 맛보다 속이 편한 음식으로 바꿔야 하고 담백한 식재료를 사용해야 합니다.
기름사용을 줄이고 찌거나 무쳐서 먹는 음식으로 요리 방법도 달리해야 합니다. 식사 습관을 달리하고 변화를 꾀해야 합니다. 체질을 잘 알면 자기에게 알맞은 음식과 식습관을 찾으라는 것도 다들 아는 얘기입니다.
실행에 옮기기도 어렵겠으나 그래도 해결하는 첫걸음은 시작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글이 마음에 와 닿았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립니다. 장기적으로 글 올리는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사주상담문의 : 010-9222-8427
- 이메일 : mirai-an@naver.com
- 카톡ID : 3jin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