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간오합의 역설적 주장 - 정임합화목?

오늘은 천간오합의 역설적 주장으로 - 정임합화목에 관한 글입니다.


천간합은 팔자해석과 심리분석에 있어서 대단히 긴요한 이론이지만 의견이 분분합니다. 


합을 하되 어떠한 경우에도 다른 오행으로 '변하는 일이 없다'는 이론과 '변한다'는 이론으로 갈립니다.​


후자의 견해는 아래와 같은데, 이는 다시 변할 수 있는 조건을 놓고 의견이 분분합니다. 


어떠한 이론을 따르느냐에 따라 팔자풀이가 완전히 달라지게 되는 것입니다. 과연 어떤 이론이 합리적일까?




그래서 천간오합의 역설적 주장에 대해서 시리즈로 포스팅하겠습니다.




① 丁壬合 →  木?​


봄철에는 먼 곳이 뿌옇게 보이는 대기의 혼탁현상이 자주 생깁니다. 구름인지 안개인지 아니면 연기인지 분간이 쉽지 않습니다. ​


자동차의 배기가스나 굴뚝에서 나온 매연, 그리고 먼지 등이 대기 중의 수증기와 섞여서 나타나는 자연현상인데, 기상학에서는 '연무(煙)'라고 합니다. 열(丁火)과 수증기(壬水 )의 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지랑이는 햇빛이 강한 날 아스팔트나  해안의 모래밭, 초원의 잔디밭에서 마치 무색의 흔들거리는 연기와 같은 것이 피어올라 먼 곳의 경치가 아른거리는 현상을 말합니다. ​


햇빛(丙火)에 의해 뜨거워진 지면(丁火)에서는 난류에 의하여 밀도가 적은 공기나 큰 공기가 복잡하게 뒤얽혀서 상승하게 되는데, 이 곳을 통과하는 빛이 불규칙하게 굴절되어 생기는 현상입니다. 


공기의 밀도차이는 수분의 함유 정도가 좌우한다고 합니다. 아지랑이 현상도 지열(丁火)과 수중기(壬水)의 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묘하게도 이런 현상들은 거의 木의 계절, 즉 봄에 왕성합니다. 봄은 겨울에 강했던 水氣가 아래에서 위를 향하는 중에 정화(丁火)와 만남이 이루어지는 丁壬合의 계절입니다. 


丁火와 壬水가 합하여 木으로 변한 것은 없습니다. 단지 봄(木)에 일어나는 현상이며, 봄(木)스러운 분위기가 연출되고 있을 뿐, 두 성분의 본질은 변한 것이 없습니다.


본 글은 천간합에 대한 역설적인 주장을 올려드렸음을 아시기 바랍니다.


*이 글이 마음에 와 닿았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립니다. 장기적으로 글 올리는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사주상담잘하는곳 : 010-9222-8427 

- 이메일 : mirai-an@naver.com

- 카톡ID : 3jin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