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기초-음양의 기준과 구분
오늘은 명리학기초로 음양의 기준과 구분에 관한 글입니다.
음양의 개념을 생각해보면 음양의 형상을 그려보고 그 속성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 해도 음양을 구분하는 기준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음양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사물과 현상의 대립되는 기운이나 성질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음양은 두 사물 간의 대립 관계 일 수도 있고, 하나의 사물 내에서 내립하는 관계일 수도 있습니다.
물과 불의 관계를 보면, 두 개의 사물은 대립의 관계입니다. 물은 차갑고 아래로 흐르는 성질입니다. 불은 뜨겁고 위로 솟아오르는 성질입니다. 물이 음, 불이 양입니다.
하나의 사물인 물만을 살펴보면, 물은 흐르지만 어떤 곳에서는 고이기도 합니다. 흐르는 물과 고인 물은 대립되는 성격으로 각각 양과 음이 됩니다.
음양은 사물의 형상 · 성향 · 기운 등의 기준으로 구분합니다. 구체적으로 는 소극과 적극, 후퇴와 발전, 연약과 강강, 내부와 외부, 물질적과 정신적, 보수적과 진보적, 음기와 양기 등이 음양 구분의 기준이 됩니다.
이와 같은 기준에 따라 사물의 음양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음 - 땅, 여자, 물, 아래, 오른쪽, 뒤, 밤, 죽음, 가난하다, 천하다, 악하다, 신하, 빌다, 꾸중, 들짐승, 손님, 아우, 달리다, 숨다, 아내, 작다, 적다, 채워 있다, 끝, 양, 달, 어둡다, 탁하다, 춥다, 습하나, 약하다, 부드럽다, 가을, 겨울, 서쪽, 북쪽, 몸, 추하다, 얇다, 무겁다, 짧다, 물러가다, 고요하다, 공간, 겸양, 절망 등입니다.
양 - 하늘, 남자, 불, 위, 왼쪽, 앞, 낮, 삶, 부유하다, 귀하다, 착하다, 군주, 주다, 칭찬, 날짐승, 주인, 형, 날다, 나타나다, 남편, 크다, 많다, 비어 있다, 시작, 밝다, 맑다, 따뜻하다, 건조하다, 강하다, 단단하다, 봄, 여름, 동쪽, 남쪽, 마음, 아름답다, 두껍다, 가볍다, 길다, 나아가다, 움직이다, 시간, 교만, 희망 등입니다.
이 글이 마음에 와 닿았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립니다. 장기적으로 글 올리는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사주상담문의 : 010-9222-8427
- 이메일 : mirai-an@naver.com
- 카톡ID : 3jinj